1992 | |
---|---|
09.24 |
한국민중신학회 창립총회 |
12.18 |
회보 <숨> 제1권 1호 발행 |
1993 |
|
03.25 |
민중신학의 정치적 패러다임 모색(서광선) 민중신학의 정치적 지향(박성준) |
06.10 |
변화된 상황에서의 교회와 민중선교(박재순) |
05.27 |
성령과 민중- 실천적 지혜에 관하여(권진관) |
07.01 |
민중신학의 죄 이해(서창원) |
07.30 |
서남동의 신학적 전기(진연섭) 서남동 신학의 방법론(서진한) |
09.16 |
민중신학의 죄 이해(2) (박성준) |
1994 |
|
02.14 |
<신년행사> 대화모임 해외에서의 민중신학(변선환 박종화 외) |
1995 |
|
04.28 |
연구기획위원회 1차 세미나 정신대와 여성민중신학(정현경) 장애인 신학(박재순) |
06.16 |
교육훈련위원회 <민중신학 사랑방> 개최 새로운 대안적 공동체의 모색(이현주) |
06.16 |
연구기획위원회 2차 세미나 오늘 우리에게 예수는 누구인가로(권진관) |
07.05-06 |
민중신학회 여름 수련회 지방자치와 교회/민중신학(김영호) |
09.14 |
연구기획위원회 제3차 세미나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집 없는 나그네들에 대한 연구(박경미) |
10.06 |
한국민중신학회 95년 심포지엄 지구화와 민중신학의 전망-생명신학의 방향에서(문동환) 지구화와 희년의 성취(김용복) 여성의 입장에서 본 지구화와 희년의 성취(김희은) 민족통일의 입장에서 본 지구화와 희년의 성취(홍근수) 민중의 입장에서 본 지구화와 희년의 성취(노창식) |
1996 |
|
04.25 |
캠퍼스 순회강좌 2차 강연회(연세대) 요한 웨슬레와 민중신학(김홍기) |
07.26 |
연구기회위원회 제3차연구 모임 역사의 예수와 민중사건(김진호) |
08.30 |
특별강연 및 대화의 시간 그리스도 몸 안에서의 타자들의 연대(민경석) |
11.11 |
민중신학 연례 심포지엄 한국 현대사와 기독교(김흥수) 위기와 민중해방(채수일) |
1997 |
|
03.28 |
제1차 연구발표회 한국생명신학의 모색(박재순) |
04.25 |
제2차 연구발표회 통일신학과 민중신학(박명철) |
06.27 |
제3차 연구발표회 민중메시야론(송기득) |
1998 |
|
03.03 |
임원토론회 IMF체제하에서 민중신학의 방향성 모색 |
07.20 |
죽재서남동목사 14주기 추모기념 강연회 세계의 빈곤화와 민중구원(박명철) 새로운 인간성과 공동체를 향한 민중선교(양권석) |
10.23 |
민중신학회 가을 심포지엄 민중에게 희망을 주는 공동체를 건설하자(김성복) IMF시대에서 민중과 죄인(박명철) |
2004 |
|
07 |
초청강연 주체사상과 민중신학(신은희) |
2005 |
|
03 |
초청강연 한국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에 관하여 그리고 기독교의 과제(이종오) |
2006 |
|
02 |
함석헌의 평화․민중사상(정지석) |
04.13 |
제1회 정기세미나 한국설화에 나타난 민중의식(홍성남) |
06.08 |
제2회 정기세미나 예레미야서에 나타난 민중의 한(정 찬) 문동환박사 귀국기념 초청세미나 민중신학에서 떠돌이 신학으로(문동환) |
09.18 |
한국민중신학자대회 청년과 교회개혁(고상균 백수민) 여성과 교회개혁(최영실 이춘선) 민중신학과 교회개혁(김진호 권진관 최의팔) |
10.28 |
제3회 정기세미나 세계화시대 남미해방신학의 유산(장윤재) |
12.07 |
제4회 정기세미나 토라와 민중신학(이영재) |
2007 |
|
09 |
민중메시아론의 과정신학적 재구성(김희헌) |
11 |
언제까지 우리의 흘린 피를 신원하여주지 않으렵니까(이병학) |
12 |
한, 흑 갈등의 민중신학적 해결 방안(안중식) |
2008 |
|
01 |
탈식민주의와 민중신학의 과제 (김혜란) |
04 |
오늘날의 민중은 누구인가 (권진관) |
05 |
민중과 인민신학” (노정선) |
06 |
구약 야훼의 배우자이자 민중종교로서 아세라 여신(김은규) |
10 |
들뢰즈와 민중신학- 소수자 신학을 향하여(한정헌) |
11 |
칭의론과 그리스도의 믿음(김종길) |
12 |
대량학살의 기억과 반제국주의 운동(이병학) |
2009 |
|
02 |
민중과 디아코니아(홍주민) |
03 |
알랭 바디우 철학의 민중신학적 근거(김상일) |
04 |
예수, 민중의 상징(권진관) |
05 |
라깡과 민중신학(강응섭) |
06 |
세계화의 도전과 민중신학의 과제(김영철) |
06.29 |
한국민중신학회 전국대회(아카데미하우스) 민중신학의 과거, 현재, 미래(권진관 김진호) |
07 |
민중, 체계, 생명: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본 민중신학의 생명론(전철) |
10 |
다문화 사회의 떠돌이 민중(류장현) |
11 |
가난 영성 혼종성: 토착화 신학 3세대의 이중적 극복 과제(박일준) |
12 |
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의 민중신학(김정숙) |
2010 |
|
02 |
중진국 상황에서 민중신학 하기(권진관) |
03 |
고통 가운데에서도 파멸하지 않는 인간의 삶: 욥기 다시 읽기(최형묵) |
04 |
사회윤리의 과제와 방법(강원돈) |
05 |
지구적 보편으로서의 통합적 약자해방신학(정강길) |
06 |
노정선 박사의 인민과 민족신학(노정선박사은퇴기념) |
09 |
오병이어 이야기에 나타난 종 기독론(우진성) |
10 |
애가 3장을 통해 보는 참여와 연대의 민중신학(이영미) |
11 |
A Protestant Theology of Minjung(폴커퀴스터) |
12 |
김대중과 민중신학(김시호) |
2011 |
|
03 |
미국...기독교, 주체사상, 이슬람 비교연구(김동진) |
04 |
오클로스와 프토코이 - 민중 개념의 확대 적용을 위한 소고(김판임) |
05 |
교회복지의 실천과 민중신학(노일경) |
06 |
민중신학에 대한 단상-레비나스의 사상을 중심으로(김성호) |
07 |
기본소득과 사회정의(강원돈) |
09 |
선천댁에 나타난 안병무의 민중구원론 다시읽기(구미정) |
10 |
주체의 신학-죽재 서남동을 중심으로(권진관) |
11 |
포스트모던 상황에서 기독교의 회심이란 무엇인가(최현덕) |
12 |
해방신학을 위해 진혼곡을 울려야 할까?(홍인식) |
2012 |
|
01 |
민요에 내포된 민중성에 대한 민중신학적 고찰(김지목) |
02 |
5.18 광주 민중항쟁과 트라우마(윤덕규) |
03 |
한국 경제개발과 민주주의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평가(최형묵) |
04 |
쑨웬이즘과 마오이즘에 있어서의 종교, 사상적 연속선 연구(최자웅) |
05 |
가난한 사람 다중:민중론의 위기인가 기회인가(이석규) |
06 |
유대 묵시문학의 민중 메시아론(이병학) |
09 |
한국사회에서 경제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안에 대하여(강원돈) |
10 |
대의정치에서 민중의 정치로(정혁현) |
11 |
쌍용자동차 사태를 통해 본 노동권과 경영권의 문제(최형묵) |
12 |
오늘의 생명평화 현장-제주 강정해군기지 반대투쟁(김영철) |
2013 |
|
01 |
리스바와 전재숙-민중의 한과 기독교 신학의 과제(김희헌) |
03 |
박근혜 정권 탄생의 동학(최형묵) |
04 |
박근혜 정부의 복지정책 전망과 민중신학의 과제(정용택) |
05 |
민중과 하느님의 형상(박재형) |
06 |
위기의 한반도와 평화구축의 길(서보혁) |
07 |
교육학자가 본 민중신학(문동환) |
09 |
브라질 대중운동의 새로운 폭발과 룰라주의의 종언(원영수) |
10 |
에콰도르 원주민운동과 가톨릭교회(김항섭) |
12 |
민중신학적 지식에 이르는 길(권진관) |
2014 |
|
02 |
지구화 시대 민중신학의 과제(강원돈) |
03 |
개혁신앙적 민중신학을 향하여(오승성) |
04 |
스피박의 하위주체(최순양) |
05 |
추모위령제와 항의로서의 예배(이병학) |
06 |
애도, 기억, 저항: 세월호 ‘안의’ 민중신학(정경일) |
09 |
민중신학과 퀘이커 신학의 대화(이정순) |
10 |
오요종(Y.T. Wu)과 중국 기독학생운동의 형성(김종구) |
11 |
거룩하면서도 정화되어야 하는 교회를 위한 모델(최현순) |
12 |
푸줏간의 그리스도와 동물신학의 탐구(장윤재) |
2015 |
|
01 |
민중신학적 문화론(김지목) |
02 |
안병무와 레비나스의 신 담론 연구(이상철) |
03 |
지금, 민중신학에서 운동과 현장이란 무엇인가?(정용택) |
04 |
주체를 위한 판단력-민중신학의 한 방법적 모색(권진관) |
05 |
2015년, 불이적 종교해방신학의 주제들(신익상) |
06 |
민중 유대교와 불교 - 신비주의의 전통(김은규) |
07 |
1980년대 구로지역 민중교회와 노동운동(박 철) |
09 |
민중이 참여하는 정의 포럼의 구성 문제(강원돈) |
10 |
유영모와 민중신학-한국적 범재신론과 실천적 수행종교(김희헌) |
12 |
말씀과 말의 화쟁-이성복의 시론을 중심으로(이정희) |
2016 |
|
01 |
전승, 살아 있는 삶의 역사 (박경미) |
03 |
한나 아렌트의 정치이론과 민중신학의 대화 (이인미) |
04 |
자비의 사건 - 우리는 서로를 구원한다(정경일) |
05 |
우리의 재료로 신학하기: 아시아 이야기 신학을 위하여 (권진관) |
06 |
선거와 민중정치(강원돈) |
09 |
민중신학적 관점에서 본 국제협력사업의 한 모델 (정호진) |
11 |
한일간 과거사 인식과 국가 범죄행위에 대한 책임의 문제 (최형묵) |
12 |
내일 지구의 종말이 와도 웃기는 피에로 예수(박일준) |
2017 |
|
01 |
근본주의와 가난의 문제:민중과 잔여를 연결하여 (신익상) |
02 |
이야기와 민중, 회상과 단상(서광선) |
03 |
촛불집회와 민중정치(강원돈) |
04 |
루터를 거슬러 얀 후스로: 종교개혁과 사회개혁(장윤재) |
05 |
똥 속의 하늘 (정혜영) |
06 |
왜, 민중신학은 여성을 말하지 않았나? (박재형) |
07 |
성장주의 시대 이후의 한국교회와 민중신학(김희헌) |
09 |
민중의 자기언어 상실과 회복(오세요) |
10 |
이야기란 무엇인가?: 사건과 이야기 신학 (권진관) |
11 |
트라우마와 치유 (강원돈) |
12 |
'그 개혁'의 500년 후에 부쳐 (신익상) |
※권진관교수 정년퇴임 기념도서 출간 감사예배 도서: 신학이란 무엇인가/ 민중신학의여정(8월 25일) |
|
2018 |
|
01 |
루터의 두 왕국론과 근대 주권국가에 대한 고찰(최형묵) |
03 |
궁중족발을 지키기 위한 현장 기도회 |
04 |
유혹하는 신자유주의와 사회적 영성(정경일) |
05 |
경계밖에 선 그 이들(박지은) |
06 |
쫓겨나는 민중(박재형) |
07 |
민중신학과 맑스주의:비평의 주체로서 민중(한수현) |
09 |
꿈을 현실로 산 신앙의 선구 문익환 목사(최형묵) |
10 |
메델린의 해방자 예수(홍인식) |
11 |
포스트 휴먼 시대에서 민중신학(이상철) |
12 |
세월호 주체의 환상과 전이에 대한 연구(고성휘) |
2019 |
|
02 |
민중신학적 예배론의 내용과 실제(김지목) |
04 |
요한 묵시록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(방영미) |
05 |
성공할 수 없는 그들만의 마녀 재판(민김종훈) |
05.25 |
맑스 코뮤날레 참가:교회와 여성혐오(최순양) |
07 |
쥬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과 취약성(최순양) |
09 |
피해생존자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디나 이야기(이영미) |
10 |
세계신학 한국신학을 향한 기대와 전망(Sugirtharajah, Jennings) |
11 |
민중신학의 선구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(최형묵) |
12 |
분단체제 극복을 위한 기독교 평화통일운동 모색(김희헌) |
2020 |
|
01 |
공공신학 비판:민중 시민 그리고 민주주의 (이병성) |
05 |
탈식민주의로 표준시민 읽기, 민중이라는 방법으로 신학하기(황용연) |
06 |
피해자와 생존자 사이에서(이서영) |
07 |
디트리히트 본회퍼의 타자의 신학(김성호/서울신) |
09 |
바울의 자유 개념에 대한 사회정치적 해석의 필요성(장양미) |
10 |
니케아 신경은 종교 권력의 지배 이념인가?(김은규) |
12 |
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(박 철) |
2021 |
|
01 |
알랭 바디우와 민중신학(허석헌) |
02 |
변증법적유물론의 영성적 사유와 대안 성심기도(남재영) |
05 |
팬데믹의 민중신학적 분석(권진관) |
09 |
노동의 프레카리아트화와 민중신학(정용택) |
10 |
역대기 저자가 전하는 요시야 개혁의 개혁(김윤식) |
11 |
한국 개신교의 성 소수자 혐오 선동정치에 대한 에큐메니컬 반성과 대안 연구(김혜령) |
12 |
기본소득 논의의 정치 이데올로기적 이해와 민중신학적 평가(허석헌) |
2022 |
|
01 |
민주화 이후 교회의 정치행동과 신뢰위기(최형묵) |
03 |
한국 이주민 여성들과 유목적 주체로의 신학적 형상화(최순양) |
04 |
종말론적 삼위일체와 현대 과학(민기욱) |
05 |
종교극우화 시대에 읽는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(김기명) |
07 |
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황에 관한 종교철학의 성찰 : 파우오-연결을 제안하며(신익상) |
09 |
안병무의 이웃종교 이야기: 민중종교신학의 모색(정경일) |
10 |
심원안병무탄생백주년 국내학술대회(예정) |
11 |
죽재서남동목사 38주기 추모 생명, 평화, 민중신학 학술대회 (예정) |
12 |
학술발표 리뷰(예정) |
1998 |
|||
08 |
민중-달릿 신학자 협의회 장소: 호서대 주제: 아시아 민중의 주체적 생활신앙 |
2000 |
|||
제05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서울 분도회관 주제: 아시아 민중의 주체적 생활신앙 |
2005 |
|||
제06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인도 캘커타 세람포 센터 주제: 달릿과 민중신학과의 대화 |
2007 |
|||
제07회 |
민중-달릿 신학자 협의회 장소: 한국교회 백주년 기념관 주제: 생명ㆍ우리의 해방 전통, 교회, 신학 |
2009 |
|||
제08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인도 뉴델리(달릿연구센터) 주제: 생명ㆍ평화ㆍ정의의 신학 - 달릿ㆍ민중의 관점에서 |
2011 |
|||
제09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성공회대학교 주제: Doing theology in contexts |
2013 |
|||
제10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부산 벡스코 콘벤션 홀 주제: Question of Life, Justice, and Peace for Dalits and Minjung |
2014 |
|||
제11회 |
달릿-민중신학 컴퍼런스 장소: 인도 뱅갈로 주제: Mission in the Context of the Margins |
죽재 서남동 목사 추모 민중신학ㆍ해방신학ㆍ상황신학 국제학술회의 [9개국 34명 논문발표] 장소: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기간: 2014년 10월 23(목) ~ 25일(토) |
2016 |
|||
제12회 |
달릿-민중신학 컨퍼런스 장소: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주제: 정의와 평화: 신앙적, 신학적 함의 |
2020 |
|||
전태일 50주기 개신교 심포지엄 |
장소: 기독교회관 주제: 한국교회 전태일을 기억하다 기간: 11월 5일 |
2022 |
|||
심원 안병무 선생란 백주년기념 국내학술대회 |
장소: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주제: 민중신학의 새로운 목소리 기간: 10월 17일 |